국민주택기금 전세자금대출 종류 기준
국민주택기금 전세자금대출 종류 기준
국민주택기금 전세자금대출의 종류



국민주택기금 전세자금대출 종류
근로자·서민 전세자금 : 근로자·서민의 주택전세에 지원하는 자금
저소득가구 전세자금 : 저소득세입자의 주거안정을 위한 주택전세자금
소년소녀가정 등 전세자금 : 무주택 소년소녀가정 및 교통사고 유자녀 가정의 주택전세에 지원하는 자금
기존주택 전세임대자금 : 저소득계층 재임대용 도심 내 기존주택을 임차하는 데에 소요되는 임차자금을 지원하는 자금
부도임대주택 퇴거자 전세자금 : 부도임대주택에서 퇴거하거나 퇴거당할 예정인 임차인의 주택전세에 지원하는 자금

국민주택기금 전세자금대출 기준
자금종류 호당융자 한 도 액 연이율 융자기간 비 고 저소득가구전세자금 8,400 만원 (3자녀 이상 세대는 9,100 만원) 내에서 지역별 전세보증금의 70% 2.0 15년 분할상환 (대출금액의 50% 범위내에서 만기일시상환으로 선택 가능) 대출금액은 지역별 전세보증금의 70% 이내에서 소득·부채 등 개인신용평가 결과에 따라 결정 융자대상자는 지방자치단체의장이 추천함. ※ 지역별 전세보증금 ·수도권 과밀억제권역: 1억2천만원 ·수도권 기타 지역 및 광역시 : 9천만원, ·그 밖의 지역: 7천만원, ※ 3자녀이상 세대의 지역별 전세보증금 ·수도권 과밀억제권역: 1억3천만원 ·수도권 기타 지역 및 광역시: 1억원 ·그 밖의 지역: 8천만원 * 기존대출자의 전세보증금 증액분에 대한 추가대출은 대출한도내 가능 소년·소녀가정 및 교통사고 유자녀 전세자금 수도권: 7,500만원 광역시: 5,500만원 그 밖의 지역: 4,500만원 무이자 대출일이 속하는 해당 연도 12월 20일(1년단위 연장) 만20세까지는 무이자, 만20세가 지난 경우 지원기간 연장 시부터 이후부터 만25세까지는 저소득가구 전세자금 대출이율 적용 기존주택 전세임대 자금 수도권: 7,500만원 광역시: 5,500만원 그 밖의 지역: 4,500만원 2.0 대출일이 속하는 해당 연도 12월 20일 (1년단위 연장 가능) 쪽방, 비닐하우스 및 대학생 전세임대 포함 ·쪽방은 수도권 및 광역시 5천5백만원, 그 밖의 지역 4천5백만원 ·일반가구 대학생전세임대 연 3.0% 공동생활가정은 수도권 및 광역시 1억원, 그 밖의 지역 7천만원 근로자·서민 주택 전세자금 8,000만원 (수도권은 1억원, 3자녀 이상 세대는 2천만원 상향) 3.3 2년 이내 일시상환(3회 연장 가능) 대출금액은 전세보증금의 70% 이내에서 소득·부채 등 개인신용평가 결과에 따라 결정 만 65세이상 노인을 부양하는 세대에 대해서는 금리 0.2%p인하 적용 장애인·다문화가구 0.2% 금리우대 3자녀이상 세대는 0.5% 금리우대 * 기존대출자의 전세보증금 증액분에 대한 추가대출은 대출한도내 가능 부도임대아파트 퇴거자 전세자금 5,000만원 3.0 2년 이내 일시상환 (2회 연장 가능) 해당 지자체장의 추천을 받아 전세보증금의 70% 이내에서 소득·부채 등 개인신용평가결과에 따라 결정 기초생활수급자, 독거노인의 경우 연1.0% 적용(지자체장 추천시)
※ 전세자금 대출에 관한 실제 운영상황은 위의 법령정보와 상이할 수 있으니, 국토교통부 주택기금과(http://www.mltm.go.kr)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출처 : 법제처 홈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