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보험_실업급여
실업급여 실업인정
무사바우
2015. 6. 20. 16:56
실업급여 실업인정
구직급여는 수급자격자가 실업상태에서 적극적으로 직업을 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인정되는 경우에 받을 수 있습니다.
실업급여 실업인정을 받으려는 수급자격자는 실업의 신고를 한 날부터 계산하기 시작하여 1주부터 4주까지의 범위에서 실업인정일에 출석하여 재취업을 위한 노력을 하였음을 신고해야 합니다.
실업인정대상기간 중에 근로를 제공하거나 취업 등을 한 경우에는 그 근로를 제공한 날 이후 최초의 실업인정일에 그 사실을 신고해야 합니다.
실업급여 실업인정을 받으려는 수급자격자는 실업의 신고를 한 날부터 계산하기 시작하여 1주부터 4주까지의 범위에서 실업인정일에 출석하여 재취업을 위한 노력을 하였음을 신고해야 합니다.
실업인정대상기간 중에 근로를 제공하거나 취업 등을 한 경우에는 그 근로를 제공한 날 이후 최초의 실업인정일에 그 사실을 신고해야 합니다.
실업의 인정



실업인정의 신청




실업인정대상기간 중 근로 등의 신고









실업의 인정




1. 구인업체를 방문하거나 우편·인터넷 등을 이용하여 구인에 응모한 경우
2. 채용관련 행사에 참여하여 채용을 위한 면접에 응한 경우
3. 직업능력개발 훈련 등을 받는 경우 중 다음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1) 고용노동부장관의 인정을 받은 훈련과정을 수강하는 경우
2)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에서 훈련비용의 전부 또는 일부를 지원하는 훈련과정(출결관리가 이루어지는 훈련과정으로 한정)을 수강하는 경우


4. 고용센터에서 실시하는 직업지도 프로그램에 참여한 경우
5. 해당 실업인정일부터 30일 이내에 취업하기로 확정된 경우
6. 직업능력개발 훈련시설(법인 포함)이나 학원 등에서 재취업을 위해 수강 중인 경우로서 따로 재취업활동이 필요하지 않다고 고용센터의 장이 인정하는 경우
7. 구인업체가 부족한 경우 등 노동시장의 여건상 고용정보의 제공이 어려운 경우로서 직업지도를 위해 필요하다고 판단되어 고용센터의 장이 소개한 사회봉사활동에 참여하는 경우
8. 「실업인정 및 재취업지원규정」 제7조에 따라 재취업활동계획을 수립 또는 변경할 때 사업목적·내용·장소·시기·추진일정 등을 명시하고, 재취업활동계획서에 명시된 내용에 따라 자영업 준비활동을 한 경우
9. 고용센터의 지원을 받아 재취업활동에 관한 계획을 수립하는 경우
10. 위 1.부터 9.까지의 사항에 준하는 경우로서 다음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1) 고용센터에서 행하는 직업소개, 성취프로그램 등 직업지도 및 직업훈련지시에 응한 경우, 재취업지원프로그램 그 밖의 직업훈련지시에 응한 경우(다만, 8시간 미만의 직업지도 또는 재취업지원프로그램에 참여한 경우에는 최대 2주간의 구직활동을 한 것으로 봄)
2) 실업인정특례자로 인정받은 도서거주자 또는 장애인(자력으로 거동이 곤란한 자로 한정)이 고용센터의 직업소개에 따라 전화 등을 이용하여 구인자와 구직상담을 한 경우
3) 고용노동부장관의 허가를 받은 근로자파견업체에 구직서류를 접수하거나 선원 구인·구직등록기관에 구직자등록을 한 경우(실업인정대상기간 중 접수 또는 등록한 경우로 한정)
4) 일용근로자의 경우 실업인정대상기간 중 「고용보험법 시행규칙」 제92조제3호에 따라 1개월미만으로 근로를 제공하는 경우
5) 위 1)부터 4)까지에 준하는 경우로서 사회통념상 근로의 의사와 능력을 가지고 적극적인 구직활동을 하였다고 고용센터의 장이 인정하는 경우

Q. 적극적인 재취업활동을 인정받기 위해서는 어떤 서류를 제출해야 하나요?
A. 다음과 같은 서류를 제출하여 적극적인 재취업활동을 하였음을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
<구직활동을 증명하는 서류>




<직업훈련을 받았음을 증명하는 자료>

<자영업 준비활동을 증명하는 자료>





1. 임신·출산·육아·노약자의 간호, 그 밖의 가사상의 이유로 이직(離職)한 자 중 그 이직 원인이 아직 소멸되었다고 보기 어려운 경우
2. 질병·부상 등 정신적·육체적 조건으로 통상 취업이 곤란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3. 휴업급여의 지급 대상이 되는 경우(「산업재해보상보험법」 제52조)
4. 고용센터의 장이 미리 지정하여 준 직업소개나 직업지도를 위한 출석일에 정당한 사유 없이 출석하지 않은 경우(출석하지 않은 기간으로 한정)
5. 위 1.부터 4.까지에 준하는 경우로서 다음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1) 동일 사업장만을 반복하여 구직활동을 하는 경우
2) 전화나 인터넷 등으로 구인처를 탐문만 하는 경우
3) 수급자격자의 경력·연령·기능 및 노동시장상황 등을 고려할 때 수용이 거의 불가능한 근로조건만을 고집하는 경우
4) 자영업 준비활동의 경우 준비활동이 아닌 반복적으로 자영업을 위한 장소물색이나 시장조사만을 행하는 경우
5) 「방문판매 등에 관한 법률」에 따른 사업이나 사업을 수행하는 자를 위한 훈련·교육 및 보험대리점 개설이나 보험모집인(생활설계사 등)을 위한 훈련·교육을 수강하는 외에는 별도의 자영업 준비활동을 하지 않는 경우(다만, 수급기간 중 1회의 훈련·교육은 그 기간을 재취업활동을 한 것으로 봄)
6) 8시간 미만의 직업지도 또는 재취업지원프로그램 등을 3회 초과하여 참여하는 경우
7) 재취업활동계획의 내용과 현저히 다르게 재취업 활동을 한 경우
8) 고용센터의 장이 지시한 구직활동 등 재취업활동을 정당한 사유 없이 이행하지 않은 경우
9) 그 밖에 위 1)호부터 8)까지의 규정에 준하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