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차휴가

아르바이트 연차휴가

무사바우 2014. 6. 24. 10:16

아르바이트 연차휴가

 

알바연차휴가 연차유급휴가


1. 연차휴가의 적용범위 및 발생기준

 

연차휴가는 상시근로자 5인이상 사업장에서 근무하고, 1주 소정근로시간이 15시간이상되며,

1년에 80%이상 출근한 경우에 발생하며...

일반적인 근로자의 경우 15일을 주도록 되어 있습니다.

 

 2. 연차휴가에 특례가 있다..

 

이전에도 포스팅을 했지만

주40시간(일반적으로 주5일제) 근무제가 시행되면서 월차휴가제도가 삭제되고, 연차휴가의 일수가 10일에서 15일로 늘었습니다..

 

 

 


문제는 입사 1년차의 경우 아무리 급한 일이 생겨도 쓸수있는 휴가가 없다는 것이지요..

만 1년이 안된 새내기가 만1년이 되어야 발생하는 연차를 쓸 수 없는 것은 당연하겠지요..

 

 

 

 

 

그래서 특례가 만들어졌습니다..

그것은 바로 만1년이 안되는 근로자(입사1년차 근로자)의 경우 1개월을 개근하면 다음달에 1일의 유급휴가가 발생합니다..

홧팅2

마치 지금은 근로기준법에서 삭제된 월차휴가처럼 쓸 수 있는 것입니다..

또 하나의 특례가 있는데요..

만약 개인사정으로 인해 1년에 80%이상 출근하지 못한경우 그 다음해에 사용할 수 있는 연차가 없잖아요..

그래서 이 경우에도 입사1년차와 동일하게 1개월을 개근하면 다음달에 1일의 유급휴가가 발생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3. 아르바이트 연차휴가

 

흔히들 아르바이트라고 하지만 근로기준법상 명칭은 단시간근로자라고 합니다..

많은 경우 아르바이트는 일한 만큼만 시간당 계산해서 받는 것으로 알고 계신데요..

아닙니다..!!!

고고

아르바이트도 주휴수당과 연차수당, 퇴직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물론 주15시간 이상 일을 해야 합니다만..

어쨌든 받을 수 있는 것은 다 받는게 좋잖아요..

이는 아르바이트가 그냥 구걸하는게 아닙니다..

법에서 근로자의 권리로 당연히 규정하고 있는것으로 세계 모든 국가에 규정되어 있습니다..

 

4. 연차휴가 수당계산

 

아르바이트(단시간근로자)의 연차휴가 수당은 아래와 같이 계산합니다..

 

통상 근로자의 연차휴가일수

×

단시간근로자의 소정근로시간

×

8시간

통상 근로자의 소정근로시간

 

그래서 만약 4시간을 일하는 경우

15일 * 4시간/8시간 * 8시간 = 60시간의 연차휴가 및 수당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하윤성 노무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