든든(취업 후 상환)학자금(생활비 포함) 상환
든든생활비대출
든든(취업 후 상환)학자금 및 생활비를 대출받은 학생은 대출시점부터 대출 원리금에 대한 상환의무를 부담합니다. 다만, 대출원리금 상환의무는 소득이 발생하여 상환기준소득금액을 초과할 때까지 의무적 상환은 유예됩니다.

Q. 든든(취업 후 상환)학자금 대출 원리금은 어떻게 계산하나요?
A. 든든(취업 후 상환)학자금의 채무자가 상환해야 할 등록금 대출 원리금은 등록금 대출잔액과 대출시점부터 상환시점까지 대출금리(2015년도 2학기 대출금리는 2.7%)를 등록금 대출잔액에 매 학기 단리(單利)로 적용한 이자를 합산한 금액으로 합니다.
다만, 상속 또는 증여재산이 발생하여 일정금액을 의무적으로 상환하게 된 경우에는 연체금 및 가산금을 포함한 금액으로 합니다.
든든(취업 후 상환)학자금 상환방법
든든(취업 후 상환)학자금 자발적 상환
든든(취업 후 상환)학자금의 자발적 상환이란 기준소득 이상의 소득 발생에 따른 의무적 상환과 관계없이 채무자가 본인의 의사에 따라 수시로 대출 원리금을 상환하는 방식을 말합니다.
든든(취업 후 상환)학자금의 자발적 상환은 일시에 납부하는 대출중도상환과 월납으로 상환하는 든든이체약정 등록의 방법이 있습니다("2015학년도 2학기 학자금 대출 기본계획", p.12).
※ 든든(취업 후 상환)학자금의 자발적 상환은 한국장학재단 홈페이지(www.kosaf.go.kr)의 중도상환(홈페이지-사이버창구-학자금대출관리-학자금대출 상환-중도상환) 및 자동이체(사이버창구-학자금대출관리-계좌관리-든든이체약정 등록 또는 중도상환)을 통해서 진행할 수 있습니다.
든든(취업 후 상환)학자금 의무적 상환
든든(취업 후 상환)학자금의 의무적 상환은 연간소득금액이 상환기준소득을 초과하거나, 상속 또는 증여재산이 발생한 경우 졸업 여부에 관계없이 일정금액을 의무적으로 상환해야 하는 방식이며, 이 경우 국세청의 조세징수시스템을 활용하여 상환을 관리합니다.
※ 든든(취업 후 상환)학자금의 의무적 상환에 대하여 상세사항은 국세청 홈페이지(www.icl.go.kr) 및 국세청 세미래콜센터(☎ 126-1-5)로 문의가능합니다.
든든(취업 후 상환)학자금 대출 후 사후관리
든든(취업 후 상환)학자금 채무자 신고의무
든든(취업 후 상환)학자금 등을 대출을 받은 학생(이하 ‘채무자’라 함)은 연1회 이상 본인과 배우자의 주소, 직장, 부동산 등 재산상황 및 금융재산의 정보를 성실하게 신고하고 본인의 대출 원리금 및 상환내역을 확인해야 합니다.
든든(취업 후 상환)학자금 채무자는 소득이 발생한 경우에는 즉시 소득발생사실, 소득의 종류, 연간 소득 및 사용자 등을 성실하게 신고해야 합니다.
든든(취업 후 상환)학자금 채무자는 대출을 받은 날이 속하는 연도부터 상환이 완료되는 날이 속하는 연도의 직전 연도까지 매년 12월 1일부터 12월 31일 사이에 신고를 해야 합니다. 다만, 채무자의 주소 또는 직장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그 변경사항을 변경된 날이 속하는 달의 다음 달 말일까지 추가로 신고해야 합니다.
신고방법은 한국장학재단 홈페이지에 내용을 입력하는 것으로 하며, 신고 내용이 입력된 때에 신고된 것으로 봅니다.
든든(취업 후 상환)학자금의 채무자가 신고를 하지 않거나 거짓으로 신고한 경우에는 100만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 채무자 신고는 한국장학재단 홈페이지(www.kosaf.go.kr)의 사이버창구-학자금대출관리-채무자신고에서 진행하실 수 있습니다.

든든(취업 후 상환)학자금 대출 후 해외이주자 관리
든든(취업 후 상환)학자금 대출 후 해외로 이주하려는 채무자는 출국 3개월 전까지 해외이주 계획을 교육부장관 또는 한국장학재단에 신고해야 합니다.
해외로 이주하려는 채무자는 출국 1개월 전까지 대출 원리금 전액을 상환해야 합니다. 다만, 채무자가 대출 원리금 전액을 상환하지 못할 경우 교육부장관은 채무자로 하여금 그 잔여분에 대하여 원리금 균등분할 상환방식 또는 원금 균등분할 상환방식에 따라 상환하도록 하고 담보의 제공을 요구할 수 있습니다.
해외이주 신고를 하지 않거나 거짓으로 신고한 경우에는 100만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 다만, 해외이주자의 경우 2015년 6월 22일 전에 종전의 「취업 후 학자금 상환 특별법」 제20조제2항에 따라 원리금 균등분할 상환으로 전환한 경우에는 위의 제20조제2항의 개정규정에도 불구하고 종전의 규정에 따릅니다.

든든(취업 후 상환)학자금 대출 이후 해외유학생 관리
해외유학을 하려는 채무자는 출국 40일 전까지 유학계획 및 원리금 상환계획을 교육부장관 또는 한국장학재단에 신고해야 하며, 이 경우 교육부장관은 채권자에게 담보의 제공을 요구할 수 있습니다.
채무자가 유학계획기간 종료일부터 1년 후까지 귀국하지 않는 경우 채무자는 즉시 대출 원리금 전액을 상환해야 합니다. 다만, 유학계획기간 종료 후 학업연장 등의 사유로 해외거주기간이 연장되었을 경우에는 채무자는 그 사실을 교육부장관 또는 한국장학재단에 신고하고 대출 원리금의 상환을 유예받을 수 있습니다.
해외유학 신고를 하지 않거나 거짓으로 신고한 경우에는 100만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 해외이주/유학 신고는 한국장학재단 홈페이지(www.kosaf.go.kr)의 사이버창구-학자금대출관리-해외이주/유학 관리에서 통해서 진행하실 수 있습니다.

해외소득 발생자
해외취업 등의 사유로 해외에서 소득이 발생한 경우에는 「해외이주법」 제4조제2호의 무연고 이주 중 외국기업과의 고용계약에 따른 취업이주로 보아 해외이주자와 동일한 기준에 따라 상환하게 됩니다("2015학년도 2학기 학자금 대출 기본계획", p.15).
든든(취업 후 상환)학자금 상환의무 면제
든든(취업 후 상환)학자금 대출 원리금에 대한 상환의무는 채무자가 65세 이상으로서 국민연금소득 외에 다른 소득이 없고 상환기준소득인정액(「취업 후 학자금 상환 특별법」 제19조제2항) 이하인 경우에는 이를 면제합니다(「취업 후 학자금 상환 특별법」 제16조제2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