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계유지곤란사유로 인한 병역감면
생계유지곤란병역면제대상 생계를같이하는가족 가족부양비율 가족재산액 2014 최저생계비 병역감면절차
본인이 아니면 가족의 생계를 유지할 수 없는 사람은 부양비기준과 재산액 기준액, 월 수입액 기준 등 일정한 기준요건을 모두 충족할 경우 제2국민역으로 병역의무를 감면받을 수 있습니다.



생계유지곤란사유로 인한 병역감면 대상




생계유지곤란사유로 인한 병역감면요건과 감면결정 기준


가족의 생계를 유지할 수 없는 사람의 범위는 가족을 부양의무자·피부양자 또는 자활가능자로 구분한 다음 그 가족 중에서 부양의무자가 없고 피부양자만 있는 경우 또는 부양의무자가 있더라도 부양능력을 초과하는 경우로 구분하여 일정한 재산액 및 수입액 기준이 법령에서 정하고 있는 모든 기준을 충족하는지와 가사상황 및 병역 감면처분의 적정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지방병무청장이 결정합니다.
생계유지곤란사유로 인한 병역감면의 가족의 범위

사실상 생계를 같이하는 가족 |
사실상 생계를 같이 하지 않는 가족 |
---|---|
1. 형제자매의 사망으로 의지할 곳 없는 조카가 생계를 같이 하고 있는 경우 2. 재혼한 모가 계부의 사망으로 의지할 곳이 없어 1년 이상 생계를 같이 하고 있는 경우 3. 생모와 1년 이상 생계를 같이 하고 있는 경우 4. 입양을 간 사람이 생가에서 1년 이상 생계를 같이 하고 있는 경우 5. 외조부, 외조모 또는 장인, 장모가 의지할 곳이 없어 1년 이상 생계를 같이 하고 있는 경우 6. 혼인한 형제자매가 의무자의 가족과 1년 이상 생계를 같이하고 있는 경우 7. 부는 사망하고 모가 재혼하여 의무자가 계부의 가에서 1년 이상 생계를 같이하고 있는 경우 8. 조부모가 백부·숙부가의 생계곤란 등 사유로 의무자의 가족과 1년 이상 생계 및 세대를 같이하는 경우 9. 형제 중 이 규정에 의하여 병역 감면처분을 받은 사람이 있는 경우에는 그 형제와 사실상 생계를 같이하는 것으로 본다.
|
1. 공부(公簿)상 이복형제로 확인되고 1년 이상 생계를 달리하고 있는 경우 2. 형수가 형의 사망으로 1년 이상 생계를 달리하고 있으면서 본가에 생계보조를 하지 않는 경우 3. 재혼한 모 및 계부와 사실상 따로 세대를 구성하여 생계를 달리할 경우 4. 부모의 사망으로 의지할 곳이 없어 백부, 숙부, 혼인한 누나 또는 이모와 생계를 같이할 경우 그 방계 가족 5. 주민등록상 1년 이상 세대를 달리하는 신부, 수녀, 승려가 가족의 생계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재산이나 소득이 없는 경우 6. 이혼(재혼한 후 다시 이혼한 경우를 포함함)한 모가 의무자의 가족과 1년 이상 생계 및 세대를 달리하는 경우 7. 부모 및 형제자매가 부모의 이혼으로 인하여 생계 및 세대를 달리하고 있는 경우 8. 부모 및 형제자매가 본인의 혼인으로 인하여 생계 및 세대를 달리하고 있는 경우
※ 7. 8.의 경우 가족의 구성형태, 의무자의 성장과정, 생계 및 세대를 달리한 기간, 부모 및 형제자매가 의무자의 생계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재산이나 수입이 있는지 여부, 사실상 생계에 도움을 주는지 여부 등을 확인하여 생계곤란심의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그 결과에 따라 처리합니다. |


구분 |
부양의무자 |
피부양자 |
자활가능자 |
---|---|---|---|
연령 |
19세 ~ 59세 |
19세 미만, 65세 이상 |
60세 이상, 64세 까지 |
부양능력을 초과하는 피부양자의 기준 · 남자 부양의무자 1명에 피부양자 3명 이상 · 여자 부양의무자 1명에 피부양자 2명 이상 장애등급 1~4급자인 경우 연령에 관계없이 피부양자 인정 |




공익법무관
전문연구요원 및 산업기능요원


의무사관후보생
공중방역수의사
위의 표의 연령구분에도 불구하고 다음에 해당하는 사람은 피부양자로 봅니다.






부양비 계산에서 제외되는 사람 |
피부양자 1명을 2명으로 보는 사람 |
---|---|
1. 17세 이후 주민등록증 미발급된 사람 또는 주민등록이 1년 이상 말소되거나 거주불명으로 등록되어 행방을 알 수 없는 사람
2. 천재지변 등 재난으로 1개월 이상 생사를 알 수 없는 사람
3. 현역에 복무 중인 병
4. 사관생도(6개월 이내 임관예정자 제외)
5. 국제협력봉사요원
6. 형의 선고를 받고 나머지 수형기간이 6개월 이상인 사람
7. 장애인등록자로서 장애등급(5급 및 6급)에 의한 자활가능자 및 연령에 의한 자활가능자(「생계유지곤란자 병역 감면 처리규정」 제14조제1항·제4항) |
1. 전신기형자, 한센병 환자(나병환자), 앞을 못보는 사람, 말하지 못하는 사람, 듣지 못하는 사람, 팔꿈치 관절 또는 무릎관절 이상을 결한 사람, 「장애인복지법」에 따른 장애인등록자로서 장애등급이 1급 또는 2급인 사람
2. 정신병 등 불치의 질병으로 감시와 보호가 필요한 사람
3. 만 6세 미만의 취학 전 영유아
※ 위의 1. 및 2.의 경우 병사용진단서, 장애인등록증, 재원증명서, 시군구청장의 사실확인서 또는 징병검사전담의사의 징병신체검사결과 통보서에 의하여 확인함
|

가족 재산액의 범위와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지방세법」 제105조 에 따른 재산세 부과대상의 재산: 시가표준액






구 분 |
가산비율 |
기 준 액 |
부양의무자가 있을 경우 |
- |
53,900,000원 이하 |
부양의무자가 여자만 있는 경우 |
30% |
70,070,000원 이하 |
부양의무자가 없을 경우(부양의무자가 있으나 가족 중 장애 1, 2급자, 만 6세 미만의 취학전 영유아가 있는 경우) |
50% |
80,850,000원 이하 |
장애인(1·2급), 만 6세 미만의 취학 전 영유아만 있는 경우(장애1,2급, 만 6세 미만의 취학전 영유아 이외 잔여가족이 피부양자만 있는 경우) |
100% |
107,800,000원 이하 |


구분 |
1인 가구 |
2인 가구 |
3인 가구 |
4인 가구 |
5인 가구 |
6인 가구 |
7인 가구 |
---|---|---|---|---|---|---|---|
금액(원) |
603,403 |
1,027,417 |
1,329,118 |
1,630,820 |
1,932,522 |
2,234,223 |
2,535,925 |





생계유지곤란사유로 인한 병역감면 절차









병역 감면 대상 |
제출 시기 |
---|---|
현역병입영 대상자 |
현역병입영 통지서를 받은 후 입영기일 5일 전까지 제출 가능 |
현역병 또는 사회복무요원 등 복무 중인 사람 |
그 사유가 발생한 때에 언제든지 병역 감면서류 제출 가능 |
사회복무요원소집 대상자 |
징병검사를 받은 다음 해부터 언제든지 제출 가능 |
생계유지곤란사유로 인한 병역감면 처분








생계유지곤란사유로 인한 병역 감면의 제한



<출처 : 법제처홈페이지>
'생활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외체재자ㆍ국외거주자 등의 입영 연기 (0) | 2014.11.25 |
---|---|
재학생 입영신청 및 입영연기 (0) | 2014.11.25 |
징병검사등급 (0) | 2014.11.23 |
뇌사판정 절차 기준 (0) | 2014.11.23 |
의사상자(義死傷者)개념 지원내용 (0) | 2014.11.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