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대문형무소, 서대문독립공원

 

 

서울 서대문구 현저동 101번지에 위치한 일제시대 감옥.

1907년 시텐노가즈마(四天王數馬)의 설계로 착공, 다음 해 '경성감옥(京城監獄)'이란 이름으로 문을 연 후 80년 동안 약 35만 명을 수감, 숱한 민족의 수난사를 잉태하였다.

일제강점기 때는 주로 민족지도자와 독립운동가, 4·19혁명 이후 1980년대까지는 정치인·기업인·세도가·군장성·재야인사·운동권 학생 등과 이 밖에 살인·강도 등의 흉악범과 대형 경제사범·간첩 등 다양한 범법자들이 이곳을 거쳐갔다.

1912년 서대문감옥, 1923년 서대문형무소, 1946년 경성형무소, 1950년 서울형무소, 1961년 서울교도소 등의 명칭을 거쳐 1967년 서울구치소로 개칭되었고, 1987년 서울구치소가 경기도 의왕시로 이전한 이후 1998년 사적(史蹟) 제324호로 지정되었다.

서울시는 이곳을 민족의 수난과 독립운동의 역사교육 현장으로 부각시키기 위해 구한말의 독립관을 복원하고, 공원을 조성하여 1992년 '서대문독립공원'으로 개원하였다. 1998년에는 역사관을 개원하여 옥사와 사형장, 망루와 시구문 등을 원형대로 복원하였다.

이곳에는 3.1운동때 유관순열사가 갇혔던 지하 여자감옥, 윤봉길의사가 복역중 만들었다는 붉은 벽돌, 강우규의사가 처형당한 사형장, 여러 독립투사들이 투옥되었던 1평 남짓한 좁은 감옥들이 남아있다.

- 네이버 백과사전에서



           직후의 경성감옥(1908년) 아래 초가집이 보인다(서대문역사관 사진 촬영)



                            경성감옥 모습(1930년대)


     

                             인천분감 내부 모습(1910년대)


                          투옥된 의병장들


서대문형무소에 수감된 유관순 열사                        



   수감된 105인사건 독립지사들. 용수를 쓰고 수갑을 찬 채 어디론가 끌려가고 있다.



 

1945년 8월 16일 해방과 함께 서대문형무소에서 석방된 독립운동가들이 만세를 부르고 있다.



 서울구치소로 불리던 1975년 4월, 박정희 유신정권에 의해 법살당한 인혁상사건 희생자들...


                          1987년 경기도 의왕시으로 이전하기 직전의 서울구치소 모습



                          서대문형무소 터는 서대문역사공원으로 단장되었다.

 

 서대문형무소역사관으로 탈바꿈함 서대문형무소의 현재의 모습

Posted by 무사바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