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견노동자의 임금체불에 대해 사용사업주가 책임지는 경우
[해설 및 의견]
▣ 파견에 대해서는 불법파견인지여부는 ①파견사업주의 실제가 인정되는지, ②사용사업주의 지휘명령권을 기준으로 판단한다. 파견노동자들의 임금이 체불된 경우 파견사업주의 실제가 인정되지 않으면 사용사업주가 책임을 지고, 파견사업주의 실제가 인정되더라도 파견법 제34조제2항에 해당되는 사유로 체불되면 사용사업주가 책임을 부담해야 한다.
[질 의]
▣ 이주노동자 10여명이 B사(도급업체)소속으로 A사에서 근로를 제공하고 B사를 통하여 임금을 받아오다가 2개월분 임금을 받지 못하고 있는 바, A사가 이주노동자들에게 직접 일을 시켰으므로 A사와 B사는 불법파견 관계에 해당하며, 따라서 A사가 이주노동자들에게 임금을 지급해야 하고, 이주노동자들은 당해 체불임금을 A사에 청구해야 하는 것이 아닌지?
[회 시]
▣ 귀하의 경우, 붙임의 ‘지침’에 따라 판단한 결과 B사가 사업주로서의 실체가 인정되지 않는다면, 이주노동자들은 A사의 직접고용근로자로 추정되므로 반증이 없는 한, A사에서 직접 이주노동자들에게 임금을 지급해야 할 것임.
- 그러나 B사가 사업주로서의 실체를 갖추고 있어, 다음 단계로서 파견인지, 도급인지를 판단한 결과, A사와 B사간 파견관계에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면 이주노동자들의 임금은 이주노동자들과 고용계약관계에 있는 B사(파견사업주)가 지급해야 함(파견법 제34조제1항).
- 다만, 이주노동자들을 사용한 A사의 귀책사유(▲A사가 정당한 사유없이 근로자파견계약을 해지한 경우, ▲A사가 정당한 사유없이 근로자파견 계약에 의한 근로자파견의 대가를 지급하지 아니한 경우)로 인해 B사가 임금을 체불하게 된 것이라면, 파견법 제34조제2항에 따라 A사는 B사와 연대하여 임금지급에 대한 책임을 지게 됨.(비정규직대책팀-368, 2008.03.28)
'비정규직'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견근로자의 서면합의를 위한 근로자대표선출방법 (0) | 2018.07.11 |
---|---|
사용사업주와 파견사업주의 유급휴일규정이 다를 경우 (0) | 2018.07.04 |
차별시정명령을 받는 주체 (0) | 2018.07.02 |
단체협약등에 의한 격려금을 파견직에게 미지급하는 경우 (0) | 2018.06.27 |
공무원보수규정을 적용받는 경우 차별적 처우해당여부 (0) | 2018.06.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