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견에서 직고용기간제의 경우 계속근로합산여부
【해설 및 의견】
○ 파견에서 직고용 기간제로 변경된 경우 그 근무기간이 합산되는지에 따라 무기계약전환여부가 결정되는바, 이에 대해 노동부는 무기계약전환은 동일한 사업주에게 근로를 제공한 경우에만 가능하므로 파견에서 직고용으로 변경된 경우에는 해당되지 않는다고 판단하고 있다.
【질 의】
○ CCTV 통합관제센터 운영을 위하여 용역업체와 ‘CCTV 통합관제센터 모니터링 용역’계약을 체결하여 모니터링 요원을 파견형태로 근무하도록 하고 있는 바,
- 2012년에 변경된 ‘CCTV 통합관제센터 모니터링 용역’업체가 2011년에 모니터링 요원으로 근무하였던 근로자들을 신규 채용하여 2년을 초과하여 종전과 동일한 업무를 수행하도록 하는 경우에 「기간제 및 단시간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이하 ‘기간제법’)에 따라 기간의 정함이 없는 근로계약을 체결한 것으로 간주되는지 여부와 다른 곳에서 동일한 업무에 종사했던 기간도 기간제법 제4조의 “2년”에 포함되는지 여부
【회 시】
○ 기간제 및 단시간 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이하 ‘기간제법’) 제4조제1항 본문 및 제2항에 따르면 사용자는 2년을 초과하지 아니하는 범위안에서(기간제 근로계약의 반복갱신 등의 경우에는 그 계속근로한 총기간이 2년을 초과하지 아니하는 범위 안에서) 기간제근로자를 사용할 수 있고, 사용자가 2년을 초과하여 기간제근로자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2년을 초과한 시점부터 기간의 정함이 없는 근로계약을 체결한 것으로 간주됨.
○ 기간제법 제4조는 동일한 사용자가 기간제근로자를 2년 초과하여 사용하는 경우에 기간의 정함이 없는 근로계약을 체결한 것으로 간주하는 규정이므로 다른 사용자에게 근로를 제공했던 자를 귀 기관이 채용한 경우 종전의 근로기간은 계속근로로 보기 어려울 것임.
- 따라서 종전의 용역업체 소속으로 근로했던 기간제근로자를 새로 선정된 용역업체가 신규 채용한 경우에는 종전의 용역업체에서 근로했던 기간은 기간제법 제4조제1항 본문의 ‘2년’에 포함되지 않을 것임.
- 만일, 귀 기관 ‘CCTV 통합관제센터 모니터링 용역’이 파견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이하 ‘파견법’) 제2조제1항제1호의 “근로자 파견형태”로 운영되는 경우에는 파견법 제6조의2제1항에 따라 2년을 초과하여 계속적으로 파견근로자를 사용한 사용사업주는 당해 파견근로자를 직접 고용하여야 할 것임.
(고용차별개선과-2545, 2011.12.30.)
'비정규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예산부족을 이유로 한 공공기관의 기간만료(해고)에 대한 정당성 (0) | 2018.09.06 |
---|---|
동일법인 내 다른 사업장 근로기간합산 기준 (0) | 2018.09.05 |
무기계약전환시 직무 및 처우 (0) | 2018.09.03 |
동일사업장의 다른 사업(업무)에 반복채용되는 경우 계속근로기간 (0) | 2018.08.31 |
기간제의 계속근로인정 및 2년초과 여부 (0) | 2018.08.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