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종인대골화증

 

증 상
경부 및 양측 어깨의 통증, 양측 상박부 또는 후두골의 통증을 호소하게 되며 상기의 일반적인 증상 이외에 신경근이 압박되면 해당 신경근 지배부위의 감각이상, 저린 증상 및 근력약화 등의 신경근증(radiculopathy) 소견이 나타나며 만일 척수 압박이 심해지면 손놀림의 이상, 보행장해와 같은 척수증(myelopathy)소견이 추가된다.

이상과 같이 일반적인 증상이나 신경근증 증상은 경추의 추간판 탈출증의 증상과 동일하므로 진단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병 리
후종인대 골화증은 경추의 후종인대가 연골내 골화 과정에 의해 형성되는 피질골 모양의 뼈로 서서히 진행하며 신경근 또는 척수를 압박하여 다양한 신경변성을 나타내나 워낙 서서히 진행되는 병변이라 척추관의 50 - 60%가 후종인대의 골화된 덩어리에 의해 막혀도 신경증상 없이 양호한 경우도 있으나 일반적으로 척수가 압박되면 척수의 변성에 의한 척수의 중심 회백질의 괴사, 주위 백질의 탈수화 현상 등이 나타나며 이는 MRI에서 척수공동증(syringomyelia)형태를 보이는 경우도 있다.



X - ray
방사선 촬영 소견상 경추의 후종인대 골화증은 그 형태에 따라 쪾분절형(segmental type) 쪾연속형(continuous type) 쪾혼합형(mixed type) 쪾국소형(localized type)등으로 분류되며 그 형태는 아래의 그림 및 X선 필름의 모양과 같다



치 료
▶ 보존적 치료
경부견인 및 보조기 착용, 침상안정 및 물리치료 등이 시행되나 척수증(myelopathy)의 증상이 생기면 보존적 요법으로는 치유가 어렵다.

▶ 수술적 치료
보존적 치료에도 호전되지 않는 신경근증(radiculopathy)과 척수증(myelopathy)환자에서 시행되며 증상이 심하지 않더라도 협착이 심한 경우는 예방적 목적의 수술이 필요한 경우도 있다.

수술 방법으로는 전방감압 및 고정술, 후방 추궁확장 성형술 등이 일반적인 방법이며 심한 경우에는 후방 성형술 후에 전방 고정술을 시행하기도 한다.

후유증 및 외상과의 인과관계
이상의 설명과 같이 경추의 후종인대 골화증은 외상과 무관한 본인의 질환이나 흔히 외상에 의해 초기 증상이 유발되며 척추관 협착이 심한 경우 경미한 충격으로도 사지마비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외상과의 인과관계는 반드시 고려되어야 한다.

이때 고려되어야 할 사항은 외상의 유무 이외에 척추관 협착의 정도, MRI상 척수의 변성정도, EMG검사에 의한 신경기능 저하 유무 및 정도를 반드시 고려해서 후유장해 및 외상과의 기여도를 판정하여야 한다.

▶ 신경근증(radiculopathy)의 소견만 있는 경우
추간판 탈출증 또는 경추부 염좌에 준하여 판정이 가능하다.

▶ 척수증(myelopathy)의 소견이 동반된 경우
척수손상에 준하여 판정해야 하므로 하지의 운동 상태 및 대소변 기능, 성기능의 변화도 고려해야
한다.

'산업재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장질환의 정의  (0) 2014.06.03
심근경색증  (0) 2014.06.03
소음성난청  (0) 2014.06.03
MRI와 CT  (0) 2014.06.03
반월상 연골파열  (0) 2014.06.03
Posted by 무사바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