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도소득세 신고방법 세율
양도소득세란?
양도소득세란 부동산 (토지․건물) 또는 부동산에 관한 권리(아파트분양권 등)와 같은 자산의 양도에 따라 발생하는 소득에 대하여 과세하는 세금입니다.
양도소득세가 과세되는 범위는 다음과 같습니다.
- 부동산(토지 또는 건물)의 양도소득
- 부동산에 관한 권리(부동산을 취득할 수 있는 권리, 지상권, 전세권, 등기된 부동산 임차권)의 양도소득
- 주식 또는 출자지분의 양도소득
- 기타자산(사업용 고정자산과 함께 양도하는 영업권, 특정시설물 이용권․회원권 등)의 양도소득
양도소득세는 비과세되거나 감면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 1세대 1주택의 경우로서 보유요건 및 거주요건 등 비과세 요건을 충족한 때에는 양도소득세가 과세되지 않습니다.
- 장기임대주택, 신축주택 취득, 공공사업용 토지, 8년 이상 자경농지 등의 경우 감면요건을 충족한 때에는 양도소득세가 감면됩니다.
양도소득세의 신고납부
양도소득세는 부동산을 양도한 경우에는 양도일이 속하는 달의 말일부터 2개월 이내에주소지 관할세무서에 예정신고․납부를 하여야 합니다.
- 예를들어, 2012년 1월 5일 잔금*을 지급받았다면 양도소득세 예정신고ㆍ납부기한은 3월 31일까지입니다.
* 양도시기는 원칙이 대금청산일임(예외적으로 대금청산일 전 소유권이전등기를 한 경우에는 등기접수일이 양도시기가 됨)
양도소득세는 2010년부터 예정신고납부세액공제가 폐지되고, 무신고시 가산세가 부과되었습니다. 다만 2010년까지는 부동산 등 양도시 과세표준 4,600만원 이하 부분에 대해 5%의 예정신고세액공제를 적용(한도액 291천원)하고, 2011년이후 양도부분터는 예정신고세액공제가 전면 폐지됩니다.
연도별ㆍ자산별 양도소득세 예정신고세액 공제와 무신고가산세
양도소득세 과세대상 자산 |
2010년 양도분 |
2011.1.1 이후 양도분 | |||
예정신고 세액공제율 |
한도액 |
무신고 가산세율 | |||
ㆍ2년 이상 보유한 부동산 및 권리ㆍ기타자산(골프회원권 등) |
5% |
291천원 |
10% |
ㆍ예정신고 세액공제 없음 ㆍ무신고 가산세 20% 적용 | |
ㆍ협의매수ㆍ수용 부동산 |
2년미만 |
5% |
한도없음 |
20% | |
2년이상 |
10% | ||||
ㆍ주식ㆍ미등기 양도 ㆍ2년 미만 보유한 부동산 및 권리 ㆍ지정지역 3주택 이상자 |
없음 |
- |
20% |
* 양도소득세 무납부시 납부불성실 가산세 연간 10.95% 적용
양도소득세의 확정신고
-당해연도에 부동산 등을 여러 건 양도한 경우에는 그 다음해 5월 1일부터 5월 31일 사이에 주소지 관할세무서에 확정신고를 하여야 합니다.
-다만, 1건의 양도소득만 있는 자가 예정신고를 마친 경우 확정신고를 하지 않아도 됩니다.
-예정신고나 확정신고를 하지 않은 때는 정부에서 결정·고지하게 되며, 신고·납부를 하지 않은 경우 무신고가산세 20% (또는 40%), 무납부가산세 1일 0.03% 를 추가 부담하게 됩니다.
양도소득세 분할납부 및 물납
-양도소득세는 납부할 세액이 1천만원을 초과하는 경우 납부할 세액의 일부를 납부기한 경과 후 2개월이내에 나누어 낼 수 있습니다.
-양도소득세를 분할납부할 수 있는 세액
․ 납부할 세액이 2천만원 이하일 경우 : 1천만원을 초과하는 금액
․ 납부할 세액이 2천만원을 초과하는 경우 : 납부할 세액의 1/2 이하의 금액
-공공사업을 위하여 공공사업시행자에게 토지를 매각하고 그 대금을 공공용지보상채권으로 받는 경우 그 채권으로 양도소득세를 납부할 수 있습니다.
․ 세액이 1천만원을 초과하는 경우
․ 양도소득세 예정·확정 신고기한 10일 전까지 물납 신청
<출처 : 국세청 홈페이지>
'세금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증여세 납부의무자 신고기한 신고서류 (0) | 2015.09.11 |
---|---|
법인세 중간예납 및 신고 (0) | 2015.09.08 |
법인세 대상 (0) | 2015.09.07 |
부가가치세 신고납부 (0) | 2015.09.03 |
원천징수제도 개요 (0) | 2015.09.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