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업급여 지급액 수급기간 급여일수
실업급여최대기간 실업급여 훈련연장급여 개별연장급여 특별연장급여 실업급여 숙박비 교통비 이사비용
실업급여기간중부상질병 장애인실업급여 실업급여수급기간중취업
실업급여 구직급여 지급액 = 퇴직전 평균임금의 50% X 소정급여일수
● 실업급여 최고액 : 1일 4만원
● 실업급여 최저액 : 최저임금법상 시간급 최저금액의 90% X 1일 근로시간 (8시간)
● 최저임금법상 시간급 최저금액의 90% X 1일 근로시간 (8시간)
(최저임금법상의 시간급최저임금은 매년 바뀌므로 실업급여 최저액 역시 매년 바뀝니다.)
실업급여 수급기간(소정급여일수)
● 연령은 퇴사 당시의 만 나이입니다.
<실업급여 일수>
30세 미만
1년미만- 90일 1년이상 3년미만- 90일 3년이상 5년미만-120일 5년이상 10년미만-150일 10년이상-180일 30세 이상 ~ 50세 미만 1년미만-90일 1년이상 3년미만- 120일 3년이상 5년미만- 150일 5년이상 10년미만- 180일 10년이상- 210일 50세 이상 및 장애인 1년미만-90일 1년이상 3년미만- 150일 3년이상 5년미만- 180일 5년이상 10년미만- 210일 10년이상- 240일
* 장애인은 수급자격 신청일 당시「장애인고용촉진 및 직업재활법」에 따른 장애인으로 등록되어야 함
실업급여에 관해 많이 묻는 질문
Q. 실업급여 수급기간 중 부득이하게 취업할 수 없는 경우에는 구직급여를 받을 수 없나요?
A. 부상, 질병, 심신허약, 임신, 출산 등의 사유로 불가피(휴가나 휴직, 경미한 업무전환 등이 허용되지 않은 경우)하게 이직한 자는 이직한 이후에도 재취업활동을 할 수 없는 것이므로 재취업 활동을 할 수 있는 때까지 수급기간 연장신청을 하여두었다가 재취업을 활동을 할 수 있을 때부터 구직활동을 하면서 구직급여를 수급받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구직급여 수급자격을 신청하고 수급자격을 인정받은 이후에 발생한 질병, 부상 등으로 재취업활동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수급자격자의 선택에 의하여 동 기간동안 수급기간을 연장하거나 또는 상병급여를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수급기간을 연장하는 경우 그 기간은 최대 4년 입니다.
<수급기간 연장 사유>
본인의 질병 또는 부상
배우자 또는 직계존비속의 질병 또는 부상
배우자의 국외발령 등에 따른 동거목적의 거소 이전
Q. 실업급여 구직급여를 정해진 지급일수보다 더 연장하여 받을 수 있나요?
A. 취직이 어렵고 생활이 곤란한 경우 구직급여를 연장하여 받을 수 있습니다. 연장급여는 훈련연장급여, 개발연장급여, 특별연장급여가 있습니다.
훈련연장급여
실업급여 수급자로서 직업안정기관장의 직업능력개발훈련지시에 따라 훈련을 수강하는 자-실업급여액의 100% (2년 범위 내)
개발연장급여
취직이 특히 곤란하고 생활이 어려운 수급자로서 임금수준, 재산상황, 부양가족, 훈련수강 여부 등을 고려하여 생계지원이 필요한 자-실업급여액의 70% (60일 범위 내)
특별연장급여
실업급증 등으로 재취업이 특히 어렵다고 인정되는 경우 고용노동부 장관이 일정한 기간을 정하고 동기간 내에 실업급여의 수급이 종료된 자-실업급여액의 70% (60일 범위 내)
Q. 재취업활동을 위해서 비용이 드는데 지원 받을 수 있나요?
A. 재취업을 장려하기 위해 직업능력 개발 수당, 광역구직활동비, 이주비 등의 취업촉진 수당을 지원해드립니다.
직업능력개발 수당지급
실업기간 중 직업안정기관장이 지시한 직업능력개발훈련을 받는 경우(실업자훈련 등 중복수혜의 경우 제외)
-훈련기간중의 교통비,식대 등 - 5,000원(1일)
교통비, 숙박비 등의 광역구직활동비 지급
직업안정기관장의 소개로 거주지로부터 50km가 넘는 지역에서 재취업 활동을 하는 경우
-공무원 여비규정에 따라 실비 지급
이동거리와 가족 수에 따른 이사비용 지급
직업안정기관의 장이 알선한 취업 또는 훈련지시를 따르기 위하여 이사를 하는 경우 이주비 지급
-공무원 여비규정에 따라 실비 지급
Q. 실업급여 취업촉진수당은 어떻게 청구하면 되나요?
A. 실업급여 직업능력개발수당
취업 구직자가 월 1회 훈련기관 소재지 관할 고용센터에 직업능력개발훈련수강증명서를 제출하시면 됩니다.
실업급여 광역구직활동비
취업 구직자가 취업을 위해 광역구직활동을 하여 종료일부터 14일 이내에 거주지 관할 고용센터에 광역구직활동비청구서를 제출하시면 됩니다.
실업급여 이주비
취업 구직자가 취업을 위해 이주한 날로부터 14일 이내에 새로운 거주지의 소재지 관할 고용센터에 이주비 청구서를 제출하시면 됩니다.
<출처 : 고용보험 홈페이지>
'고용보험_실업급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용보험료 요율 산정 (0) | 2015.05.25 |
---|---|
실업급여 구직활동 (0) | 2014.10.16 |
자영업자 고용보험가입 (0) | 2014.10.11 |
고용보험 보험료 (0) | 2014.09.27 |
고용보험 취득신고 상실신고 자격취득일 이직확인서 (0) | 2014.09.27 |